DB 2

[TypeORM] cross-env 환경에서 마이그레이션 하기

ORM을 사용하면 SQL 질의어 없이 코드로 테이블을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다. Node 진영에서 많이 사용하는 TypeORM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편리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마이그레이션은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의 변경사항을 버전 관리하고 적용하는 과정으로, 개발 과정에서 데이터베이스 구조가 변경될 때마다 안전하게 업데이트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팀 단위 개발이나 여러 환경(개발, 스테이징, 프로덕션)에서 일관된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오늘은 평소에 TypeORM을 사용할 때 내가 사용하는 마이그레이션 방식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한다. 마이그레이션 방식 설명에 앞서 TypeORM은 0.3.20 버전을 사용중이고 NestJS는 10.x.x 버전을 기준으로 작성했다. 추가로 cross-en..

DB 2025.04.13

[DB] 뷰(View) 란?

뷰(view) 란?뷰(view)는 데이터베이스 작업 시 기본 테이블에서 유도된 가상 테이블이다. 뷰 테이블 (view table)이라고도 한다. 뷰는 사용자에게 접근이 허용된 데이터만을 제한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하나 이상의 기본 테이블로부터 유도되며, 저장장치 내에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사용자에게 있는 것처럼 간주되고 데이터 보정작업, 처리과정 시험 등 임시적인 작업을 위한 용도로 활용된다. 뷰는 조인문의 사용 최소화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최대화한다. 데이터베이스에서 뷰(view)는 위와 같은 사전적인 의미를 갖는다. 위의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일종의 가상 테이블실제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적재하지 않음실제 존재하는 테이블처럼 보임 뷰(view)의 주요 이점 중 하나는 ..

DB 2024.05.09